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선박의 운동성능과 조종성능 (1) 선박은 조류와 파도와 바람이 세차게 일어나는 바다에 띄워지게 된 다. 이런 외력들에 의하여 흔들리고 밀리고 부침(浮沈) 한다. 이런 악조건들 을 극복하고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하여 적절한 운동성능과 조종성능이 갖 추어지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2) 반복적인 운동 상태 중 가장 피해가 큰 것은 피칭(Pitching)과 롤링 (Rolling)이다. 해상조건과 선박의 크기, 선박의 형상에 따라 주기(週期)와 크기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는 선박이 크면 주기는 늦어지고 피칭과 롤 링의 크기는 커진다. 이는 단순한 기하학적 특성으로서 긴 널빤지로 널을 뛸 때 같은 각도로 기울더라도 받침대와 먼 쪽에서 널 뛰는 사람이 오르내 리는 양이 커지는 것과 똑같은 이치이다. 작은 배일수록 파장이 짧은 파도, 즉 작.. 2021. 8. 8.
선박 화물적재와 안정성 부양력 측면 (1) 부피가 큰 화물, 즉 컨테이너, 목재, 자동차와 같은 가벼운 화물들은 적하 면적과 공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갑판 위로 높이 적재하거나 아니면 갑판을 아주 높은 데로 올려서 설치하고 그 속에 짐을 적재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선박과 화물의 합성 무게 중심이 높은 위치로 설정되게 마련이다. 오뚝이의 무게 중심이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잘 쓰러지지 않는 현상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하면, 무게 중심이 높은 위치로 설정되는 것은 불안정하 며 작은 힘으로 살짝 밀기만 해도 쓰러지리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2) 합성 중심을 낮은 위치에 설정되도록 하려면 빈 선박 자체의 중심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해야 하고 화물적재도 무게 중심이 높아지지 않도록 적 재해야 한다. 선박의 두꺼운 철강재나 무거운 기계류는 낮.. 2021. 8. 8.
선박 기능별 특성과 선종에 따른 최적 기능조정 1. 부양기능 측면 1. 선체가 크면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요인들 때문에 어떤 적정한 크기로 귀납된다. (1). 길이, 폭, 깊이는 접안시키고자 하는 항만의 부두 사정, 수리 도크의 크기, 늘 지나다니는 운하나 하천 등 협수로의 급선회하는 지역 조건등에 두루 맞아야 한다. (2). 화물집하량과 화물량, 하역 능력에 따라 주로 기항하는 항구의 화물의 단위 크기가 형성되며, 선박의 크기도 이러한 화물의 단위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초대형 유조선만한 컨테이너선이나 다목적 건화물선을 만들면 수심이 낮아서 적하 항구에 갈 수도 없지만, 그만한 양의 화물일 집하되어 있지도 않고 싣고 내릴 수 있는 하역 설비도 없어서 설사 입항한다 하더라도 짐을 실어 나를 수가 없다. 2. 선체가 뚱뚱하면 짐.. 2021. 8. 8.
선박의 주기능 1. 기본 기능 1. 선박은 무거운 짐을 싣고 물에 뜨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부양기능) 2.선박은 물에 떠서 갈 수 있어야 한다. (추진기능) 3.선박은 튼튼한 그릇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구조기능) 4.선박은 짐을 싣고도 안전하여야 한다. 즉 기울거나 쓰러지지 말아야한다. (화물 적재와 안정성 및 복원력) 5.선박은 항행중에 진행 방향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고 널뛰는 것처럼 앞뒤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운동이나 옆으로 구르는 운동이 격심해서는 안 된다. 사람에게나 화물을 위해서 편안하고 안전할 수 있도록 심한 동요가 적게 하는 것을 향상시켰다고 표현한다. (운동성능) 6.선박은 좁은 항만이나 해협에서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조종성능) 2. 운항 기능 1. 선박은 방향타와 조타기를 .. 2021. 8. 8.